CS Study/네트워크(8)
-
서브넷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
LESSON 21. 서브넷의 구조*서브넷팅(subneting) : (하나의)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 *서브넷(subnet) : 분할된 네트워크 ㄴ 서브넷은 2^n 개 단위로만 나눌 수 있다. ex) 17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 싶다면 2^4(16개)로는 부족하고, 2^5(32개)로 나누어서 15개는 사용하지 않는게 최선의 방식이다. ex) A 클래스의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(subnet)로 분할 주의 : 공유기 사설 IP 할당 범위의 설정을 바꿔서 하나의 공인 IP주소로 192.168.1.0 와 192.168.2.0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분할(서브넷팅)하는 게 아니라, 2개의 '독립적인 별도의 네트워크를 생성'해 사용하는 것이다. -> 분할의 장점 : 브로드 캐스트(전체..
2024.05.03 -
IP 주소의 클래스(A, B, C), 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
LESSON 19. IP 주소의 클래스 구조 * 네트워크 크기에 따라 IP주소의 클래스를 구분한다. A클래스 : 첫 8bit(네트워크 ID) + 나머지 24bit(호스트 ID) , 대규모 네트워크 ㄴ 1옥텟의 첫비트가 0인 경우 ㄴ 1옥텟 : 0 000000 ~ 0 1111111 (10진수로 1옥텟 : 0~127) ㄴ 즉 0.0.0.0 ~ 127.255.255.255 (책/인터넷에 따라 1옥텟이 0인 경우도, 1인 경우도 있음. 0.x.x.x 가 특별한 용도라 그런듯) ㄴ 최대 네트워크 수(네트워크 ID의 bit 에 해당하는 개수) : 2^7 개 (8bit중에 1bit가 0으로 고정이니까) ㄴ 최대 호스트 수(호스트 ID의 bit에 해당하는 개수) : 2^24 = 약 1600만대 => A클래스는 총 2..
2024.05.03 -
IP (IPv4, IPv6, 공인IP, 사설IP, 유동IP, 고정IP), DHCP, NAT
5장. 네트워크 계층 :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LESSON 17.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응표세 - 전 - 네 - 데 - 물 데이터 링크 계층 - MAC주소를 이용해 같은 네트워크(LAN) 안에 있는 컴퓨터끼리 통신 (스위치 사용)vs네트워크 계층 - IP주소를 이용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끼리 통신 가능 (라우터 사용) *IP주소 :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 구분하는 주소 *라우터(router) :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 ㄴ 역할 - 라우팅(routing) : 목적지 IP주소까지 데이터를 보낼 경로를 결정해준다. (데이터 네비게이션이다) ㄴ 라우팅 가능한 장비 : 라우터, L3(레이어3) 스위치 ㄴ 라우터를 지나가는 모든 데이터는 해..
2024.05.03 -
네트워크 입문 : 물리 계층, 랜카드, 랜케이블, 리피터, 허브, 스위치
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ㄴ OSI 7계층 모델에서 가장 낮은 계층(1계층) ㄴ 역할 :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및 제어한다. -> 송신 측 : 0, 1로 이루어진 비트열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 전송 -> 수신 측 : 전기 신호를 0,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 * 전기 신호의 종류 1. 아날로그 신호 : 사인파 모양 ex) 전화 회선,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 2. 디지털 신호 : 구형파(막대) 모양 * 랜카드 ㄴ 0, 1(비트열 데이터)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ㄴ 메인보드 안에 포함되어 있는 내장형 랜카드와 별도의 랜카드가 있다. - 네트워크 전송 매체(네트워크 케이블 커넥터) ㄴ 데이터가 흐르는 ..
2022.11.03 -
네트워크 입문 : 캡슐화와 역캡슐화, 헤더와 트레일러, VPN의 종류
* 캡슐화 :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 ㄴ 응용(응용 + 표현 + 세션) 계층의 웹사이트 요청 데이터에 전송 계층부터 헤더를 붙여나간다. * 역캡슐화 :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헤더를 제거해 가는 것 * 헤더 : 송신 데이터의 앞 부분에 붙이는 전송에 필요한 정보 ㄴ ex) 수신자에 대한 정보 - IP주소 ㄴ 전송 계층부터 하위 계층에 전부 붙인다. * 트레일러 : 데이터를 전달할 때 데이터의 마지막에 추가하는 정보 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만 붙이고, 다른 계층에서는 붙지 않는다. 각 계층(Layer)의 헤더와 트레일러는 계층마다 하는 역할은 전부 다르다. 세부적인 내용은 양이 많아 따로 다룰 예정이다. * VPN : Virtual Private Network(가상 사설망) ㄴ 기업..
2022.09.28 -
네트워크 입문 : OSI 모델, TCP/IP 모델
* 프로토콜(protocol) : 네트워크 통신 규약(규칙) ex)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= 편지 송신에 비유 가능 -> 편지(데이터)가 목적지(수신 컴퓨터)에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(프로토콜)이 존재한다.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7계층 -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 -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(ex: 이메일/파일 전송, 웹사이트 조회) 6계층 -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 - 데이터 변환(ex : 문자 코드, 압축, 암호화 등) 5계층 - 세션 계층(Session Layer) - 세션 체결, 통신 방식 결정 4계층 -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 - 신뢰할 수 있는 통신 구축 3계층 - 네트워크 계층(Networ..
2022.09.26